[부산인권아카데미] 2022년 4월 강좌 후기

지금 파랑은

부산인권아카데미_20220422.pdf2.6M

부산인권아카데미 2204.png

 

[부산인권아카데미] 정치공간에서의 젠더와 평등!

 

4월 프로그램은 정치대학원에서 여성학을 가르치고 계신 안숙영 선생님과
정치공간에서의 젠더차별과 대안적 참정권 제도 사례를 살펴보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시간으로 마련했습니다

한국의 전체 국회의원 수 중 여성의 비율은 1대 국회의원 200명 중 단 한 명으로 시작해,
2000
년대에 들어서야 10%대에 진입했고, 아직까지도 20%를 넘기지 못하고 있습니다.
(
다음 선거인 2024년에는 어떻게 될까요?)

 

발제를 통해, 능력주의가 팽배한 공정만능주의 사회는 구조적 문제로서의 성차별적 억압의 종식에 대한 관심을
여성과 남성 간의
공정한경쟁구도로 협소하게 치환하는 점을 짚어볼 수 있었어요.

이는 또한 통계로도 확인할 수 있는데요,
세계경제포럼에서 발표한 글로벌 젠더격차 보고서 (The Global Gap Report,2021)에서도
건강생존
, 학습, 경제참여 지표를 제치고 정치역량의 젠더격차가 가장 높게 드러났습니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나온 것은 여성할당제, 적극적 차별시정조치(ex_차별금지법), 남녀동수제 등이 있지요.
프랑스에서는 실제로 남녀동수법이 제정된지 20년이 넘었습니다.
남녀동등고위위원회를 통해 이 제도가 잘 실현될 수 있도록 실질적 조치도 취해지고 있고요.

안숙영 선생님은 남녀동수제가 가지는 의의와 더불어 특히 지배 없는 권력에 대해 강조하셨어요.
권력이라는 단어가 지닌 위계적이고 수직적인 특성을 수평적이고 민주적인 속성으로 바꾸는,
탈권력을 위한 재권력화를 상상해보자는 선생님의 말씀이 희망적이면서도, 또 사뭇 멀고 추상적으로 들리기도 했는데요.


아직 우리는 그런 세상을 경험해보지 못했으니 그런 어색함도 당연하고
,
그러나 현장과 활동가들이 있기에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말씀과 함께
4월 아카데미의 막을 내렸답니다. 그야말로 연대와 Empowerment의 시간!

두 시간이 아쉬울만큼 흥미로웠던 강의와 열띤 청중토론으로 따듯하고 즐거웠던 아카데미 현장, 아주아주아주 일부만 전해드렸답니다.

 


5
월 아카데미는 526일 목요일, 역사와 인권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는 흥미진진한 시간으로 준비하고 있으니까요. 다음달에 또 만나뵈어요-!

 

DSC03816.JPG   DSC03852.JPG   DSC03872.JPG

 

DSC03928.JPG   DSC03929.JPG   DSC03951.JPG

 

DSC03976.JPG   DSC04208.JPG   DSC04389.JPG

 

DSC04428.JPG   DSC04477.JPG   DSC04531.JPG

 

DSC04676.JPG   DSC04706.JPG   DSC04751.JPG

20지금 파랑은행사

댓글

타인을 비방하거나 혐오가 담긴 글은 예고 없이 삭제합니다.

댓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