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랑 연혁

  • 20214~9 check

    준비팀 구성 및 아름다운 재단 프로젝트 선정

    • ① 4월 준비팀 구성 (정귀순, 한아름, 김현지)

      ② 4월 아름다운재단 공익단체인큐베이팅지원사업 1차 신청서 제출

      ③ 6월 1차 선정 (파랑 포함 3개 단체)

      ④ 7월 공익단체인큐베이팅지원사업 2차 신청서 제출

      ⑤ 8월 신청단체 심사 진행

      ⑥ 9월 최종 지원단체 확정

      ▸준비기간 포함 2021.10.01. ~ 2024.12.31. (3년 3개월) / 총 200,000,000원 지원

  • 202110~12 check

    준비위원회 구성 및 활동

    • ① 준비위원회 구성 : 김현지, 송시섭, 유선경, 이민아, 이현우, 정귀순, 최영아, 한아름 (8명)

      ② 10월 29일 1차 워크숍 개최 (아름다운재단 공익단체인큐베이팅지원사업 선정 축하 등)

      ③ 12월 27일 2차 워크숍 개최 (‘인권재단 사람’의 사례 발표 등)

  • 20221~2 check

    100인의 추진위원과 함께 2022.01.01 ~ 02.23

    • 1 권명아 동아대학교 교수
      2 권희순 부산광역시 학대피해장애인쉼터 도담 원장
      3 김경일 사회복지연대 사무국장
      4 김광모 부산광역시 시의원
      5 김나현 부산이주민포럼 대표
      6 김대성 생활예술모임 곳간 대표
      7 김미경 공공운수노조 전국교육공무직본부 부산지부장
      8 김문정 부경아동가족상담소 부소장
      9 김상화 문화예술인연대 노는사람 공동대표
      10 김성오 (협)한국협동조합창업경영지원센터 이사장
      11 김재남 민주노총부산지역본부 본부장
      12 김지수 김지수 법률사무소 변호사
      13 김인선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 강사
      14 김 찬 창소년인권행동 아수나로부산지부
      15 김창훈 부산대학교 의과대학 교수
      16 김태훈 부산광역시 장애인권익옹호기관 관장
      17 김현수 관객문화협동조합 모퉁이극장 이사장
      18 김현지 부산인권플랫폼 파랑 준비위원
      19 남원철 부산지하철노동조합 수석부위원장
      20 노기섭 부산광역시 시의원
      21 노동인권실현을위한노무사모임 부산울산지부
      22 (사)노동인권연대
      23 노동현 수도의원 가정의학과 과장
      24 다닐로 알 게라 필리핀 커뮤니티센터 대표
      25 도용회 부산광역시 시의원
      26 또뚜야 황금빛살 미얀마공동체 고문
      27 류제성 법무법인 진심 변호사
      28 민은주 부산대학교 명예교수
      29 박광주 부산대학교 명예교수
      30 박민성 부산광역시 시의원
      31 박숙경 (사)에코언니야 대표
      32 박영철 울산인권운동연대 대표
      33 박인순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부경지부 대표
      34 박용민 부산광역시 인권센터 센터장
      35 박주희 <반갑다 친구야!> 사무국장
      36 박진현 부산노동권익센터 정책연구부 주임
      37 변영철 부산지방변호사회 인권위원장
      38 복성경 부산민주언론시민연합 대표
      39 서은숙 부산진구 구청장
      40 석병수 부산노동권익센터 센터장
      41 성지민 부산노동권익센터 노동권익부 주임
      42 송기인 천주교 사제
      43 송시섭 동아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44 송진희 부산문화예술계 반성폭력연대 대표
      45 양성민 부산광역시인권센터 인권옹호팀장
      46 양혜우 경희대 비교문화연구소 연구원(활동가)
      47 오다빈 (사)노동인권연대 사무처장
      48 오정진 부산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
      49 오흥숙 (사)생명의전화 이사장
      50 유동철 동의대학교 교수
      51 유선경 노동법률센터 도토리 대표 공인노무사
      52 유 숙 송국클럽하우스 소장
      53 윤대원 노무법인 나래 대표
      54 이광수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수
      55 이규희 부산인권상담센터 소장
      56 이성권 공공운수노조 부산지역본부 조직국장
      57 이수연 가톨릭국제형제회 회원, 테라피스트
      58 이숙견 한국노동안전보건연구소 상임활동가
      59 이미란 아시아평화인권연대 캄보디아 파견 활동가
      60 이민아 지역서점 생활문화시설 낭독서점詩집 대표
      61 이연학 천주교 사제 (미얀마)
      62 이용일 대구교육대학교 사회과교육과 교수
      63 이인경 부산외국인주민지원센터 센터장
      64 이재홍 이촌회계법인 부산지점대표
      65 이재희 (사)부산성폭력상담소 소장
      66 이진숙 충남인권교육활동가모임 부뜰 대표
      67 이 평 늘함께청소년성문화센터 센터장
      68 이한숙 이주와인권연구소 소장
      69 이현우 이현우 법률사무소 변호사
      70 (재)인권재단사람
      71 장은주 영산대학교 성심교양대학 교수
      72 전병호 이주민문화센터 센터장
      73 전진성 부산교육대학교 사회교육과 교수
      74 정귀순 부산인권플랫폼 파랑 준비위원
      75 정민석 (재)인권재단사람 사무처장
      76 정상래 부산환경운동연합 공동대표
      77 정지숙 (사)이주민과함께 상임이사
      78 정선녀 천주교제주교구 신서귀포성당 강정공소 회장
      79 정철상 (주)나눅스 회장
      80 정현주 메리놀병원 가정의학과 과장
      81 정혜금 민주노총금속노조부양지부 기획부장
      82 제청란 부산광역시 장애인탈시설주거전환지원단 단장
      83 조병준 건강사회를위한치과의사회 공동대표(현)
      84 조현순 한국여성CEO센터 대표
      85 조형래 법률사무소 소통 변호사
      86 주문홍 재일대한기독교회 고쿠라교회 목사
      87 최고운 부산반빈곤센터 대표
      88 최수연 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이사
      89 최영숙 독일 한민족유럽연대 의장 (독일)
      90 최영아 부산광역시 의원
      91 최주호 금정희망의집 원장
      92 최진경 참교육을위한전국학부모회부산지부 정책실장
      93 최창용 법무법인 청률 대표 변호사
      94 최철원 부산시민운동지원센터 센터장
      95 최혜림 (사)생명의전화 원장
      96 한남식 부산진구쪽방상담소 소장
      97 한아름 부산인권플랫폼 파랑 준비위원
      98 (사)해운노동조합협의회
      99 현정길 부산광역시 이동플랫폼노동자지원센터 센터장
      100 홍영연 이현우 법률사무소 변호사

      1차 추진위원회 개최 (22.01.20.)

      2차 추진위원회 개최 (22.02.10.)

  • 20221~3 check

    파랑의 공간을 만들다

    • 2022년 1월 4일 임대계약 체결 ( 부산시 연제구 월드컵대로 12 연산메디파크 건물 4층 / 총 247.79m²(75.0평))

      1월 7~25일 내부 인테리어 진행

      1월 25~29일 사무집기 구입

      2월부터 인권테마 작은도서관 <인권의서재> 준비

      3월 사무공간, 교육실, 회의실 구축 완료

  • 20222~3 check

    재정발전기금을 모으다

    • 재정발전기금에 참여해 주신 분들

      권희순님, 김경일님, 김광모님, 김나현님, 김문정님, 김미경님, 김인선님, 김지수님, 김태훈님, 김현수님, 김현지님, 남원철님, 노동인권실현을위한노무사모임 부산울산지부, (사)노동인권연대, 노동현님, 류제성님, 박광주님, 박숙경님, 박영철님, 박용민님, 박인순님, 박진현님, 변영철님, 복성경님, 서은숙님, 석병수님, 성지민님, 송기인님, 송시섭님, 안양숙님, 양성민님, 양혜우님, 오다빈님, 오정진님, 오흥숙님, 유선경님, 유숙님, 윤대원님, 이광수님, 이규희님, 이미란님, 이민아님, 이성권님, 이수연님, 이숙견님, 이용일님, 이인경님,  이진숙님, 이평님, 이한숙님, 이현우님, (재)인권재단사람, 전병호님, 전진성님, 정귀순님, 정민석님, 정상래님, 정선녀님, 정지숙님, 정철상님, 정혜금님, 정현주님, 제청란님, 조병준님, 조현순님, 조형래님, 최고운님, 최수연님, 최영숙님, 최영아님, 최주호님, 최진경님, 최창용님, 최철원님, 최혜림님, 한남식님, 한아름님, 홍영연님, 익명 참여 3인

       

      78명의 개인과 3개의 단체

  • 20222 check

    창립총회를 열다

    • 2월 3일 사무국 출근 및 총회준비 업무 시작

      법인등록 서류 준비

      발기인 33명 초대

      2월 24일 창립총회 (발기인총회) 개최

  • 20223~12 check

    첫번째 물결, 여럿이 함께

    • <창립 기념 행사를 열다>
      3월 29일 부산일보 대강당 100명 초대
      3월 30일 ‘인권의 서재’ 책마중 행사 진행
      3월 31일 부산인권아카데미 ‘공정’ 첫 강좌 개최

      <상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상반기 주제 : 공정
      3월 31일 공정의 배신(장은주 교수)
      4월 29일 정치공간에서의 젠더와 공정 혹은 젠더와 평등(안숙영 교수)
      5월 26일 사회적 공정의 기반으로서 ‘역사정의’의 문제(전진성 교수)
      6월 28일 당신의 현장에서 ‘공정’이란 무엇입니까?(좌담회)

      <사단법인이 되다>
      4월 29일 국가인권위원회로부터 법인 설립허가 취득

      <인권단체들을 초대하다>
      5월 30일 1차 간담회(부산지역 인권단체 대표 및 활동가 그룹)
      6월 21일 2차 간담회(부산지역 인권단체 대표 및 활동가 그룹)
      7월 11일 3차 간담회(부산지역 청년활동가 그룹)
      7월 19일 4차 간담회(중간지원조직과 간담회)
      11월 17일 5차 간담회(내일의 리더 교육 참가자)
      11월 19일 6차 간담회(부산지역 청소년인권활동가 그룹)

      <활동가들과 함께 배우고 성장하다>
      6~7월 디자인교육 ‘웹자보 한 끗 더 잘 만들기 연구회’ 2회 진행
      7~10월 마음돌봄 프로그램(수지에니어그램, MBTI) 4회 진행
      9월~10월 성장 프로그램 ‘내일의 리더’ 5차시 진행

      <부산지역 인권단체 현황을 조사하다>
      7월~9월 부산지역 인권단체 및 활동가 현황조사: 66개 단체 설문조사, 12명 활동가 인터뷰조사

      <하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하반기 주제 : 도시-인권-공동체
      9월 29일 인권공동체로서 도시의 가능성(정주철 교수)
      10월 27일 부산의 추억과 미래: 인권친화적 도시를 위하여(조성룡 건축가)
      11월 24일 현장 이야기: 모두를 위한 도시, 모두를 위한 주거(이원호 빈곤사회연대 집행위원장)

      <공익법인이 되다>
      9월 30일 기획재정부로부터 공익법인 지정

      <인권모임과 현장을 지원하다>
      청소년인권활동가 소모임 지원 ‘모여랑’: 2개팀(권리찾는 청소년, 쉬어갈 결심) 지원
      인권현장지원: 부산반빈곤센터 ‘존엄한 삶과 존엄한 죽음을 위한 1인가구 인권찾기 프로젝트 <보듬다>’ 지원

      <파랑은 순항 중!>
      12월 22일 순항보고회 개최

      <2022 공간을 나누다>
      책임제 무료대관 운영, 총 31회 진행
      ‘인권의 서재’ 375권 대출 가능

  • 20231~12 check

    첫번째 물결, 더 힘차게

    • <설선물을 나누다>
      1월 부산지역 해고노동자 28명, 인권활동가 32명, 총 60명에게 설선물 전달

      <노조의 리더들과 함께 배우다>
      1~4월 산별노조 리더 양성 프로젝트 (7차시 진행, 8명 수료)

      <정기총회를 열다>
      2월 20일 제1차 정기총회 개최(정회원 30명)

      <상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상반기 주제 : 평화와 인권을 외치다!
      3월 28일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과 한반도 평화를 위한 함의(이동기 교수)
      4월 25일 미얀마의 평화가 아시아의 평화(나현필 국제민주연대 사무국장)
      5월 23일 한국전쟁 70년 우리는 전쟁을 어떻게 기억하고 있는가(박석진 열린군대를 위한 시민연대 공동대표)
      6월 27일 평화활동가와의 만남(한선남 활동가)

      <인권단체들을 초대하다>
      4월 19일 부산지역 인권단체협력네트워크 <봄마실> (10개 단체 13명 활동가 참석)

      <이사회를 열다>
      6월 16일 4차 이사회 개최(이사 8명, 감사 2명)

      <공익법생태계를 이야기하다>
      6월 29일 공익법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라운드 테이블 공동개최((사)두루, (사)시민, 민변 부산지부): 13개 단체, 23명 참석

      <인권활동가와 단체를 응원하다>
      6~12월
      성장 프로그램 <내일의 리더>(6차시 진행, 6명 수료)
      마음돌봄 프로그램 <나를 찾아 떠나는 여정>(10회 진행)
      인권단체 비전워크숍(부산지역 5개 단체 참여)

      <인권단체의 모금을 함께 고민하다>
      8월 모금기획워크숍(강사:정민석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대표, 4개 단체 참여, 9회 진행)

      <명절선물나눔을 위해 모금하다>
      8월 28일~9월 15일 모금캠페인 ‘한가위엔 같이 웃자, 활짝!’ 진행

      <추석선물을 나누다>
      9월 부산지역 해고노동자 24명, 인권활동가 52명, 총 76명에게 선물 전달

      <하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하반기 주제 : 법치주의와 인권 ‘법대로! 법대로?’
      9월 26일 노사도 법대로!?(발표:정영훈 교수, 패널:조애진 변호사, 배현의 건설노조 법규국장)
      10월 31일 법치와 정치(발표:진시원 교수, 패널:노기섭 전 부산광역시의원)
      11월 28일 법치주의와 인권(조재현 교수)

      <인권활동가를 기록하다>
      9월 1일 부산지역인권활동가 인터뷰집 『나, 활동가』 발간
      (안미란 동화작가+최우창 사진작가)
      9월~11월 출간기념파티 개최, 네트워킹 워크숍 5회 진행

      <이사회를 열다>
      10월 13일 5차 이사회 개최(이사 8명, 감사 2명)

      <파랑 공간운영을 위해 모금하다>
      11월 15일~12월 15일 세상을 바꾸는 활동가들의 공간 <부산인권 액션그라운드: KEEP GOING! 프로젝트> 진행

      <파랑의 순항을 보고하다>
      11월 30일 부산유라시아플랫폼 104호 (68명 참석)

      <해고노동자·공익활동가의 건강을 돌보다>
      3월~12월 부산지역 해고노동자 및 공익활동가 건강돌봄 지원사업 진행(치과진료·몸+마음 검진, 94명 참여)
      12월 15일 결과보고회 개최

      <인권모임과 현장을 지원하다>
      4월~12월 인권활동소모임 지원사업 ‘모여랑’ (3개 모임 지원)
      인권현장 지원사업 ‘오늘의 인권’ (4개 단체 지원)
      12월 18일 결과공유회 개최

      <2023 공간을 나누다>
      책임제 무료대관 운영, 총 149회 진행, 1862명 사용
      ‘인권의 서재’ 456권 대출 가능

  • 20241~12 check

    첫번째 물결, 오래 멀리

    • <임시이사회를 열다>
      1월 8일 임시이사회 개최(이사 8명)

      <설선물을 나누다>
      2월 부산지역 해고노동자 19명, 인권활동가 71명, 총 90명에게 선물 전달

      <정기총회를 열다>
      2월 16일 제2차 정기총회 개최(정회원 30명)

      <인권단체들을 초대하다>
      3월 12일 부산지역 활동가 네트워킹 모임 <봄마실> 개최(10개 단체 12명 활동가 참석)
      3월 19일 부산지역 공익·인권 부문 중간지원조직 간담회 개최(5개 기관 8명 참여)

      <상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상반기 주제 : 우리 시대의 철학과 인권Ⅰ
      3월 18일 헤겔의 법철학과 인권(정대훈 교수)
      4월 15일 살 수 있음의 권리-피히테의 사회계약론으로 본 생존권의 철학적 근거(김준수 교수)
      5월 20일 한나 아렌트와 권리들을 가질 권리(양창아 강사)

      <모여랑·오늘의인권 선정하다>
      3월 6일 접수 → 25일 심사 → 27일 선정자 발표
      인권활동소모임 지원사업 ‘모여랑’ (3개 모임 지원)
      인권현장 지원사업 ‘오늘의 인권’ (4개 단체 지원)

      <건강돌봄 지원사업, 경남으로 넓히다>
      3월 4일 접수 → 25일 심사 → 28일 선정자 발표
      치과진료·몸 검진·심리상담, 154명 선정
      : 해고노동자 53명+공익활동가 101명 / 부산 85명+경남 69명

      <부울경 퀴어운동을 톺아보다>
      5월 17일 연구조사사업 착수보고회 개최
      ‘부산·울산·경남지역 퀴어 단체 및 커뮤니티 현황조사’

      <이사회를 열다>
      6월 21일 4차 이사회 개최(이사 8명, 감사 2명)

      <노조의 리더들과 함께 배우다>
      3월~7월 <산별노조 리더양성 프로젝트>(7차시 진행, 5명 수료)
      6월~8월 <화물연대 부산본부 간부역량 강화교육> (2차시 진행)

      <인권단체의 모금역량을 키우다>
      모금기획역량 강화교육 (강사:정민석 청소년 성소수자 지원센터 띵동 대표+ 한아름 파랑 사무국장, 4차 진행, 5개 단체 8명 참여)

      <명절선물나눔을 위해 모금하다>
      8월 19일~9월 20일 모금캠페인 ‘한가위엔 같이 웃자, 활짝!’ 진행

      <추석선물을 나누다>
      9월 부산지역 해고노동자 12명, 인권활동가 93명, 총 105명에게 선물 전달

      <이사회를 열다>
      9월 26일 7차 이사회 개최(이사 8명, 감사 2명)

      <하반기 부산인권아카데미를 운영하다>
      – 부산대 철학과 BK21 사업단과 공동 주최
      하반기 주제 : 우리 시대의 철학과 인권Ⅱ
      9월 30일 자유, 자유주의 그리고 인권(정원섭 교수)
      10월 28일 다중재난 시대의 을의 민주주의(진태원 교수)
      11월 25일 인권을 넘어선 인권? -랑시에르와 발리바르의 인권철학(정정훈 교수)

      <인권활동가들과 마실가다>
      10월 16~17일 부산지역 활동가 네트워킹 모임 <가을마실> 진행
      지리산 카퍼칼리지, 13명 참여

      <인권활동가와 단체를 응원하다>
      11월 22일 <리더들의 이야기> (인권단체 대표 5명 참여)
      4월~12월 마음돌봄 프로그램 (총 6회 진행)
      인권단체 비전워크숍 (총 2회, 부산지역 1개 단체 참여)

      <건강돌봄 지원사업, 결과를 나누다>
      부산·경남지역 해고노동자 및 공익활동가 154명에게 치과진료·몸 검진·심리상담 지원
      11월 25일 결과보고회 개최

      <모여랑·오늘의인권 활동을 공유하다>
      모여랑 : 희망인형극단, 온자람, 리드리드 3개 모임 지원
      오늘의인권 : 미얀마민주항쟁연대 부산네트워크, 여성인권지원센터 살림, 부산어린퀴어센터, 조선학교와함께하는시민모임봄 4개 단체 지원
      11월 29일 결과공유회 개최

      <인권단체와 함께 모금캠페인을 하다>
      12월 1일~ 공동모금캠페인 <일파만파:작은 변화, 큰 물결> 추진
      2개 단체(조선학교와함께하는시민모임봄, 맨발동무도서관) 지원

      <부울경 퀴어운동, 조사결과를 나누다>
      12월 11일 연구조사사업 결과보고회 개최
      ‘부울경 퀴어운동, 씨앗이 열매를 맺기까지’
      – 17개 단체·커뮤니티 설문조사, 15명 활동가 인터뷰조사

      <이사회를 열다>
      12월 23일 8차 이사회 개최(이사 8명, 감사 2명)

      <2024 공간을 나누다>
      책임제 무료대관 운영, 총 214회 진행, 2200명 사용
      ‘인권의 서재’ 587권 대출 가능